반응형 책리뷰102 책 리뷰 하나로 3만 원 번 후기 책을 살 때 주로 예스24를 이용한다. 별다른 이유는 없다. 예전부터 그냥 그래왔다. 굳이 이유를 꼽자면 ‘제일 온라인 서점 다워서‘랄까. 역시 여기에도 뚜렷한 이유는 없다. 여느 때처럼 책 구경을 하기 위해 예스24 앱을 기웃거리다가 ‘사락’이라는 서비스를 발견했다. 책 리뷰를 쓰는 블로그인 것 같은데, 원래 이런 게 있었나? 싶어서 들어가 봤다. 내가 2018년에 올린 책 리뷰 하나가 있었다. 보아하니 예스24 내에 블로그가 예전부터 있긴 했는데 최근에 ‘사락’이라는 이름으로 개편한 모양이었다.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814 예스24, 독서 커뮤니티 ‘사락’ 론칭...더욱 확장된 독서 경험 제공한다 - 독서신문예스24, .. 2024. 12. 19. “가능한 빨리 형편없이 하라” - ‘더 빠르게 실패하기’를 읽고 ‘더 빠르게 실패하기’를 읽고 있습니다. 우연한 계기로 스노우폭스북스 크루(일명 ‘스폭크루’)가 되었는데요. 매달 책 추천을 받고 함께 도서 지원금을 받게 되었습니다. ‘더 빠르게 실패하기’는 스폭크루로서 처음 읽게 된 책입니다. 보통 제 의지로 고르고 구매한 책이면 처음부터 차근차근 정독합니다. 이 책은 어떻게 보면 누군가의 추천으로 사게 된 셈이죠. 이럴 땐 좀 더 맘 편하게 책을 대합니다.순서에 상관없이 슬렁슬렁 넘겨보면서 관심이 가는 대목을 찾아봅니다. 그러지 않고 처음부터 읽어야겠다, 무조건 완독 해야지, 이런 생각을 가지면 책 자체를 결국 읽지 않게 되더라구요. 목차를 보다 두 번째 챕터의 제목에 관심이 쏠렸습니다. 가능한 더 빨리 시작하고 최대한 더 많이 실패하라. 사실 ‘실패는 성공의 어머.. 2024. 12. 16. 히가시노 게이고 ‘녹나무의 여신’을 읽고 | 감동 소설, 일본 소설 추천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 ‘녹나무의 여신’을 읽었습니다. ‘녹나무의 여신’은 2024년 5월에 우리나라에 나왔는데, 2020년에 출간된 ‘녹나무의 파수꾼’의 후속작입니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추리소설 작가로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지만 감동 코드의 마음 따뜻해지는 소설도 잘 씁니다. 저는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이라는 소설을 읽고 히가시노 게이고의 그런 면모를 알게 됐고, 인생이 재미 없다 느껴질 때면 그의 감동 소설을 찾아 읽곤 했어요. ‘녹나무의 여신’은 ‘녹나무의 파수꾼’에서 내용이 이어지기 때문에 앞선 이야기를 먼저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녹나무의 여신부터 접했을 독자나 전작을 오래 전에 읽었을 사람들을 위해 히가시노 게이고 작가는 중간중간 캐릭터와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문장을 써두었습니다.. 2024. 12. 9. 인간이 행복하지 못한 이유 - 고명환 작가의 책, ‘고전이 답했다’를 읽으며 “끝이 없는 욕망, 경계선은 능력이다” 아침에 일어나 책 한 구절을 읽는다. 조급함, 불안감에 브레이크를 걸어주는 순간이다. 개그맨 출신 고명환 작가가 쓴 ‘고전이 답했다’라는 책을 조금씩 보고 있다. 조금 전 한 챕터를 읽었는데 마침 기억하면 좋을 이야기가 쓰여 있다. 인간이 행복하지 못한 이유는 자꾸 자신의 능력 밖에서 무언가를 욕망하기 때문이라고. 책 제목이 ‘고전이 답했다’이기 때문에 고전 속 한 문장을 인용하며 얘기했다. 우리의 불행은 욕망과 능력의 불균형에서 비롯된 것이다. - 에밀 62쪽에밀이라는 책은 장 자크 루소가 쓴 세계적인 명저라고 한다. 장 자크 루소는 18세기 프랑스 철학자. 왜 ‘에밀’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모르겠지만 현재까지도 널리 읽히는 교육 지침서라고 하니 읽어보면 좋겠다. 아무튼 저 구절에 나오는 ‘욕망과 능력.. 2024. 11. 18. 충주시 홍보맨의 시켜서 한 마케팅 ‘홍보의 신’을 읽고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다음으로 가장 유명한 공무원, ‘충주맨’ 김선태 주무관의 책을 읽었습니다. 제목은 ‘홍보의 신’입니다. 충주시 유튜브를 구독하고 있진 않은데 가끔 알고리즘에 떠서 보곤 했습니다. 볼 때마다 느끼는 건 ‘정말 짧게 만들고 정말 돈 안 들인 것 같은데 정말 재미있게 만든다’라는 거였습니다. https://youtu.be/cGOfV2sl_6g?si=K5gG7FM_CrWh8tIE‘어떻게 공무원이 이렇게 만들었을까?’ ‘이렇게 끼가 많은데 어떻게 공무원을 하고 계시지?’라는 생각도 했던 걸 보면 공무원에 대한 편견이 많았던 것 같기도 합니다. 이 사람은 어떤 자세로 콘텐츠를 만들고 유튜브 채널을 운영해나갈까 궁금했습니다. 책을 읽고 나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끊임없이.. 2024. 11. 16. “바라는 바가 소박했기 때문이다” 고명환 작가가 말하는 행복의 비결 | ‘고전이 답했다’를 읽고 최근 한 2주간 마음이 시끄러웠다. 회사 안팎으로 사정이 안 좋아져서 회사가 결국 비상경영조치를 하기로 했는데, 그 여파가 직원들을 위협하기에 이른 것이다. 별 생각이 다 들었다. 먼저, 화가 났다. 경영진의 잘못 따윈 나몰라라 하고 직원에게 책임을 지라는 식의 태도. 그런 식의 해결 방안을 내놓는 회사. 납득할 수 없었다. 그다음, 조급해졌다. 사이드 프로젝트든 창업이든 홀로서기 위한 무언가를 빨리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걸 빨리 해내지 못하면 불행할거라는 생각,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아무것도 안 될 거라는 위기감이 들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지만 당장 실행하기는 쉽지 않다. 어쨌든 출근을 해야 하고 퇴근하면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일들을 해야 한다. 그렇게 현실적 한계 속에서 조급.. 2024. 11. 11. “행복은 새우깡이다” 서은국 교수 ‘행복의 기원’을 읽고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이른바 ‘행복 심리학자’로 알려진 서은국 교수님의 책 ‘행복의 기원’을 읽었습니다. 서은국 교수님을 알게 된 건 여러 영상 콘텐츠를 통해서였습니다. 먼저 유퀴즈에 출연하신 걸 봤고, 이후에 ‘최재천의 아마존’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을 봤습니다. https://youtu.be/q7NGEfpuOIc?si=bWQ8N42XIeaznSpp 평소 ‘행복한 삶이란 어떤 걸까’에 관심이 많던 터라 재미있게 봤어요. 그러다 ‘행복의 기원’이라는 책을 아주 오래 전에 내셨고, 최근에도 많은 사람들이 읽고 있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책을 구입하려고 찾아보니 올해 초 개정판이 나왔네요. 망설임 없이 구입하고 읽어봤습니다. 그동안 ‘도대체 어떻게 하면 행복한 거지?!’ ‘난 지금 행복한가? 아닌 것 .. 2024. 11. 5. “별로 중요한 일이 아닙니다” 존 윌리엄스 소설 스토너에서 배운 ‘절망’을 대하는 자세 | 스토너 감상문 독후감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이런 저런 사건을 참 많이 겪게 됩니다. 좋은 일도 있지만 우리를 절망에 빠뜨리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겪게 하는 일들도 있죠. 그런 일이 아예 안 일어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그럴 때 ‘어떻게 훌훌 털고 일어나느냐’ 하는 것입니다. 얼마 전 ‘스토너’라는 제목의 소설을 읽었습니다. 저는 거기서 고난을 이겨내는 자세에 대해 배웠어요. 주인공 ‘스토너’는 농부의 아들이에요. 새로운 농사 기술을 익혀 집안에 도움을 주기 위해 대학교에 진학하죠. 스토너는 어느 날 영문학 강의에서 학문에 매력을 느낍니다. 부모님 몰래 진로를 바꿉니다. 농업이 아닌 영문학 전공자로서 학교를 졸업하고요.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학교에 남아 영문학 공부를 이어갑니다. 교수가 된 스토너는 학생들을 .. 2024. 9. 20. “나만의 큰 문장을 가져라” 고명환의 독서 내공 ‘나는 어떻게 삶의 해답을 찾는가’를 읽고 #책리뷰 #책추천 #자기계발 1년에 겨우 한두 권 정도의 책을 읽는 삶을 살았었다. 그냥 책 읽는 게 재미가 없었다. 다른 재미있는 게 더 많은데 왜 힘들게 책을 읽냐고 생각했다. 그러다 우연한 계기로 책 읽는 재미를 조금이나마 알게 됐고, 완독한 책 목록을 스마트폰 앱에 차곡차곡 쌓아갔다. 1년에 3, 40권의 책을 읽는 사람이 되었을 때. 그렇게 2, 3년을 보냈을 때 공허함이 찾아왔다. 한 권의 책을 읽어내기에 바쁘고, 전년보다 한 권이라도 더 많은 책을 읽기 위해 ‘권 수’에 집착하기 시작하는 나를 발견하고 난 뒤부터였다. 1년에 몇 권 읽느냐는 더 이상 중요한 게 아니다, 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몇 권의 책을 읽으며 떠오른, 나에게 필요한 질문, 그것을 계속해서 떠올리고 생각하고 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행동을 하고. 필.. 2024. 8. 19.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