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랖 우주덕후의 24시간 천문학 수다, 하루종일 우주 생각 by 우주먼지 지웅배

매주 수요일 읽고 싶은 책, 위시리스트에 있는 책을 소개해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하루종일 우주 생각'이라는 과학 분야 도서예요.

저는 이과 출신은 아니지만 아주 조금의 과학적 호기심은 있습니다. 특히 우주, 천문학 분야에 대해서요.
우주에는 어떤 행성들이 있는지, 또 다른 태양계에는 지구와 같은 행성이 있을지, 우리은하 말고 다른 은하에는 우리와 같은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지.
이런 상상, 해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지 않나요?
유튜브에서도 과학 콘텐츠를 종종 봅니다. 특히 '보다'라는 채널의 '과학을 보다' 콘텐츠를 좋아했어요.

거기에 보면 '우주먼지'라는 닉네임을 쓰는 천문학자 지웅배 님이 출연을 하는데, 그분이 들려주는 우주에 관한 이야기가 정말 재미있더군요.
찾아보니 책을 내신 것도 있어서 냉큼 구입해뒀습니다.

그게 벌써 한 2년 전인 것 같아요. 읽지 않고 책장 속에 계속 방치해두고 있다는 게 문제이지만, 위시리스트에 있는 책 중 하나이긴 해요.

과학 분야의 책은 유독 그런 것 같아요. 되게 욕심은 나는데 막상 손에 들면 잘 읽히지 않는.
예전에 '인터스텔라'라는 영화에 흠뻑 빠졌을 때 '인터스텔라의 과학'이라는 책을 산 적이 있었어요.

킵손 교수라고, 인터스텔라 영화 제작에 참여하셨다는 분이 쓴 책이었는데요. 영화 속에 나오는 과학 이론을 설명해놓았다고 해서 호기심에 구매한 거였습니다.
근데 막상 책을 읽으려고 펼쳐보니 대학교 전공 서적 느낌이 나서 잘 읽히지 않더군요. 읽으려고 무진장 노력을 했는데 이해도 잘 안 되고, 그러니 읽고 나서도 기억에 남는 건 없고 ㅎㅎ..

책장에 꽂아두었을 때 좀 그럴싸해 보이는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 분야의 신간들이 나오면 여전히 관심이 가고 인터넷 서점 장바구니에 담아두게 돼요.

초등학교 때까지 장래희망을 물어보면 '과학자'라고 대답하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중학교 올라갔는데 과학 과목이 너무 재미가 없었어요. 어렵기도 했고요.
그래서 '나는 이과 체질은 아닌가 보다' 하고 그때부터 장래희망을 바꿨는데, 아마 제 무의식 속에 어린 시절 작게나마 품었던 꿈을 이루지 못한 아쉬움 같은 게 남았나 봅니다.
책으로라도 자아실현의 욕구를 달래려나봐요 ㅎㅎ
여러분은 막상 사면 잘 안 읽게 되지만 계속 위시리스트에 담아두는 책들 있으신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희망의 싹 틔우는 하루 되시길요.🌱
